제목은 거창하게 적었지만 별건 없다. 현재 정착해가는, 그래서 더 편한 방법을 찾으면 바뀔 지도 모르는 현재의 티스토리 포스팅 환경에 대해서 적어보고자 한다. 나는 현재 그림이 아주 많이 필요한 글을 쓰지 않는다. 언젠가 정보성글이나 소개 글을 적게 되면 그림이나 사진을 더 넣게 될 지도 모르겠지만, 현재의 포스팅은 철저하게 텍스트 위주이다. 사실 그림도 꼭 필요하지는 않은데 티스토리 스킨의 심미성을 고려해 대표 그림을 넣는 정도이다. 처음 LG G7+를 구입했을 당시에는 G7+를 최대한 활용하며 모든 작업을 하고자 했었는데 현재 G7+는 사용 빈도가 낮은 기기가 되었다. 웹서핑은 타블렛인 S5e가 쾌적하고, 글쓰기는 키보드가 월등히 편하고 화면은 작지만 그래서 가볍고 한손에 들어오는 아이폰SE가 그립감..
LG G7+를 써본지 한달 쯤 되어간다. 그동안 아이폰 대비 느꼈던 장점 몇가지를 정리해본다. 나는 그 전까지는 아이폰만 10년 써왔고 LG G7+는 내 첫 안드로이드 폰이다. 아이폰 대비 안드로이드 장점 "전체선택"이 어디든 뜬다텍스트를 블록을 잡아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아이폰은 경우에 따라서 이게 뜨지 않아서 블록을 수동으로 잡고 옮겨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내가 쓰는 iOS버전의 경우) 안드로이드에서는 블록이 잘 뜬다. 이게 생각보다 매우 요긴하고 편하다. 위젯 사용 가능이제는 아이폰도 위젯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서 안드로이드만의 장점이라 하긴 그렇지만, 해외 시각을 확인해야 할 일이 많은데, 위젯으로 띄워놓으니 참 편하다. 원클릭 on/off어플들몇몇 어플들은 원클릭으로 각종 기능을 켜거나 끌 수..
안드로이드 LCD폰으로 핸드폰을 고르는 조건을 압축시키고 놀란 것은 LCD폰들의 부재였다. 심지어 아이폰에도 신제품 진영에는 LCD폰이 적다. 아몰레드가 가진 느낌과 장점이 있고 S5e도 오래 사용해본 나는 아몰레드 사용을 아예 안한 것도 아니지만, 내 눈이 아몰레드의 표현방식보다 LCD의 표현방식을 더 편하게 느끼는 것도 사실이다. eink기기도 눈이 편할 수 있지만 리플레쉬와 느린 반응 속도, 그리고 어두운 배경 (프론트 라이트로 해결 가능)은 때로는 LCD나 아몰레드보다 사용성에서 제약을 느끼게 된다 컬러 eink는 아직 ppi도 낮고. 초창기 컬러 eink인 미라솔이나 픽셀치(pixel-Qi), 젯북 컬러 등을 써봤던 경험을 떠올려보면 컬러 eink의 표현이 가지는 매력들도 있지만, 역시 eink..
클리앙에서 LG폰의 아쉬운점들과 느끼는 장점에 대해서 재미있게 쓴 리뷰를 읽고 LG가 무료로 폰트나 테마를 많이 제공하는 편이고 삼성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읽었다. 나는 폰의 기본 설정을 많이 바꾸는 편이 아닌데, 뭐 그 이전에 10년 이상 써 온 폰이 아이폰이니 설정할게 없기도 했다. 탈옥하지 않는 한. 그렇다고 아이폰 기본 포맷을 싫어하는 것도 아니라서 탈옥을 할 생각도 없었고. 아이폰에서 가능한게 기껏해야 배경 바꾸기인데(이제는 위젯이 생겼다고 들었지만 나는 업데이트 대상이지만 판올림하지 않았다) 그 배경조차도 기본 파도 배경을 쓴지 몇년 된 것 같다. 아이폰에서 좀 설정을 했다면, 한페이지를 비워서 배경만 보이게 한다던가 한때는 독에 폴더를 몰아넣고 배경을 비운다던가는 종종 했었다. 이제는 그조차..
안드로이드 폰을 써본 적이 없다보니 구입 중에 후기들을 검색해봤는데 LG폰에 대해서 박한 후기가 많았다. 내가 후기를 주로 읽은 곳은 클리앙이다. 그중에 큰 하나가 붐박스 스피커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들이었다. 그래서 LG폰을 최종적으로 구입을 결정했을 때 조금 걱정이 되었던 부분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LG폰으로 최종 결정을 한 이유는 내 폰을 고르는 기준에서 가장 우선순위가 LCD폰이었기 때문이다. LCD폰 중에서 적당한 무게와 중고 가격대를 형성한 폰 중에서 LG G7+가 눈에 띄었다. 아이폰도 지금은 LCD폰을 만들지 않는데, 일단 나는 안드로이드의 특정 어플들(독서 관련)을 꼭 써야해서 아이폰이 아닌 안드로이드중에서 후보를 찾았다. 처음 안드로이드만을 후보로 했을때 내 후보는 갤럭시 S10e나 픽셀..
클리앙의 후기들을 보면 LG폰들에 대한 아쉬움을 이야기하는 글을 종종 발견했다. 사실 나는 2009년부터 2021년까지 쭉 아이폰만 써 와서 삼성이냐 LG냐 다른 회사폰이냐가 그다지 중요한 관심사는 아니었다. 아이폰 환경에 충분히 만족했고 초창기에는 애플스토어쪽이 구글스토어보다 마음에 맞는 앱이 더 많았기 때문에 아이폰을 사용하는데 무리가 없었다. 지금도 몇몇 기능들은 아이폰 쪽을 좀더 선호한다. 그러나 전자책 eink리더기들을 쓰게 되며 기기 특성상 제약된 안드로이드를 슬슬 접하게 되었다. 그러니 역시 이때도 나에게 안드로이드 환경도 이미 LG도 삼성도 아니었다. eink쪽은 예전에는 한국이나 일본 기업들도 좋은 리더기를 생산했지만 요즘은 중국이 활발하다. 그리고 핸드폰 회사하고는 또 거리가 멀다. 그..
안드로이드폰(LG G7+)과 타블렛(갤럭시탭 S5e) 사용성 비교 나는 어쩌다보니 정식 안드로이드 진입을 타블렛으로 하게 된 특이한 케이스이다. 폰을 들이니 "안드로이드 타블렛은 크기가 큰 폰이다."라는 말에 적극 공감했다. 아이패드와 아이폰처럼 차별성이 두드러지지 않기 때문이다. 애플은 아이패드용 앱과 아이폰용 앱이 사용성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도 많고 유니버셜앱이라도 동작이 다른 경우가 많다. 안드로이드 어플들도 일부는 그렇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그리고 애플은 무엇보다 아이패드에만 작동하는 어플들이 있고 또 펜이 달려서 차별성을 더한다. 나는 펜이 달린 아이패드 모델은 안써봤지만 그 전에도 아이패드만이 가진 제스쳐 등이 꽤 편리했던 기억이 난다. 안드로이드 타블렛(갤럭시탭 S5e)은 폰이랑 차별성..
LG G7+을 중고폰으로 업어왔다. 이전 폰은 아이폰 SE로 지금까지 쭉 아이폰만 써 오다가 처음으로 쓰는 안드로이드 폰이다. 그렇다고 이것이 내 첫 안드로이드 기기는 아닌데, 정확한 의미로 첫 안드로이드 메인 폰이다. 안드로이드 기기는 나에게 리더기로 더 인연이 깊다. 아이폰쪽에서 eink기기가 안나오기도 하지만. 사실 그 이전에 써 본 안드로이드 기기 자체는 꽤 많은데 기억하는 한에서는 갤럭시S(폰으로 쓴 것이 아니라 꽤 나중에 서랍에서 잠들어 있던 다른 사람 폰을 얻어서 롬을 가지고 놀아봤다.) 요타폰2(eink폰, 리더기로 사용) 하이센스 A5(eink폰) Sony T2 보위에 T62+ 누크3 오닉스 M96 오닉스 6인치 (C로 시작) 보위에 라이크북 마르스 보위에 라이크북 아레스 정도가 있다.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